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024년4

2024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안녕하세요? 이번엔 농촌의 현실을 반영하고 농업인의 애로사업을 개선한 농림축산식품부 발표 "2024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라는 정책 20가지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뀌는 정책을 보니 정부에서 여러 가지를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중에서도 '농촌 왕진버스 도입'이나 '반려동물 행동 지도사 국가자격 시행' 그리고 '천 원의 아침밥 사업확대' 정책과 환경을 고려한 '저탄소 영농활동 지원 프로그램 도입' 등도 눈여겨 볼만합니다. 또한, 동물병원의 진료비 사전게시를 법제화 함으로써 깜깜이 치료비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지 않을까 합니다. 농촌 특화지구 도입 등 농촌 공간기능 재생을 위한 통합지원 체계 구축 농촌 공간계획제도 도입으로 농촌 공간을 체계적으로 이용, 개발, 보전 시행시기: 2024년 3월 29.. 2024. 1. 11.
2024년에 바뀌는 정부 지원제도 정리 3: 소상공인, 자영업자, 농어민, 창업벤쳐, 산업단지 ·2024년에 바뀌는 정부 지원제도 정리 세 번째로 소상공인, 자영업자, 농어민, 창업벤처, 산업단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상공인· 자영업자·농어민·창업벤처·산업단지 소상공인·자영업자 냉방설비 설치, 개방형 냉장고 문 달기: 고효율 냉난방설비 6.4만 대 보급 취약차주 고리(평균 11%) 대출 저리(평균 4%) 정책자금으로 대환: 이자비용 1인당 연 390만 원 ↓(총 1만 명) 고용보험료 지원대상·비율 확대: 4만 명, 최대 80% 농어업 청년농 농지지원: 1인당 2,100평 지원 청년농촌 보금자리 주택(2~10년간 저렴하게 임대): 신규 8개소 고령농 은퇴직불금 도입: 고령농 농지 매도 시 600만 원/ha 소규모 농어업인 직불금 단가 인상: 130만 원/가구 농촌지역 대상 찾아가는 의료지원: 농.. 2023. 12. 30.
2024년에 바뀌는 정부 지원제도 정리 2: 사회적 약자, 어르신 2024년에 바뀌는 정부 지원제도 정리 두 번째로 사회적 약자와 어르신 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회적 약자 저소득층 최대 생계급여액(4인가구 기준): 월 183.4만 원 생계급여 지원대상(중위소득): 32% 이하 최대 주거급여 지급액(서울, 4인가구 기준): 52.7만 원 주거급여 지원대상(중위소득): 48% 이하 중증장애인 의료급여: 폐지 초등학생 교육급여(중위소득 50% 이하): 46.1만 원 중학생 교육급여(중위소득 50% 이하): 65.4만 원 고등학생 교육급여(중위소득 50% 이하): 72.7만 원 장애인 최중증 발달장애인 단계별 1:1돌 봄: 그룹형(주간) 1,500명 / 개별(주간) 500명 / 24시간 전국확대(340명)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 확대: 12.4만 명 중증 장애아 돌봄 지.. 2023. 12. 30.
2024년에 바뀌는 정부 지원제도 정리 1: 청년, 가족 2024년 청년, 가족에 대한 정부 지원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에는 올해보다는 좋은 소식들이 많기를 기대해 봅니다. 청년 취약청년 가족돌봄 청년 가족 돌보미 서비스 바우처 기간 확대: 12개월(월 70만원) 가족돌봄 청년 신체·정신건강 개선 자기 돌봄비: 분기당 50만원(연 최대 200만원 지원) 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방문상담, 공동생활 경험, 가족관계회복 등 지원: 청년 320명, 가족 640명 자립기반 자립수당(18세 이후 보호종료 청년): 50만원/월(5년간) NEET 청년 플랫폼: 10개소 특성화 대학·아카데미: 반도체·이차전지 2,450명 한미 첨단분야 청년교류: 300명 빈일자리 취업 장려금(조선, 물류 등): 최대 200만원(6개월간) 생활지원 대중 교통 요금할인 'K-PASS.. 2023. 12.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