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획재정부3

2024년에 바뀌는 정부 지원제도 정리 3: 소상공인, 자영업자, 농어민, 창업벤쳐, 산업단지 ·2024년에 바뀌는 정부 지원제도 정리 세 번째로 소상공인, 자영업자, 농어민, 창업벤처, 산업단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상공인· 자영업자·농어민·창업벤처·산업단지 소상공인·자영업자 냉방설비 설치, 개방형 냉장고 문 달기: 고효율 냉난방설비 6.4만 대 보급 취약차주 고리(평균 11%) 대출 저리(평균 4%) 정책자금으로 대환: 이자비용 1인당 연 390만 원 ↓(총 1만 명) 고용보험료 지원대상·비율 확대: 4만 명, 최대 80% 농어업 청년농 농지지원: 1인당 2,100평 지원 청년농촌 보금자리 주택(2~10년간 저렴하게 임대): 신규 8개소 고령농 은퇴직불금 도입: 고령농 농지 매도 시 600만 원/ha 소규모 농어업인 직불금 단가 인상: 130만 원/가구 농촌지역 대상 찾아가는 의료지원: 농.. 2023. 12. 30.
2024년에 바뀌는 정부 지원제도 정리 2: 사회적 약자, 어르신 2024년에 바뀌는 정부 지원제도 정리 두 번째로 사회적 약자와 어르신 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회적 약자 저소득층 최대 생계급여액(4인가구 기준): 월 183.4만 원 생계급여 지원대상(중위소득): 32% 이하 최대 주거급여 지급액(서울, 4인가구 기준): 52.7만 원 주거급여 지원대상(중위소득): 48% 이하 중증장애인 의료급여: 폐지 초등학생 교육급여(중위소득 50% 이하): 46.1만 원 중학생 교육급여(중위소득 50% 이하): 65.4만 원 고등학생 교육급여(중위소득 50% 이하): 72.7만 원 장애인 최중증 발달장애인 단계별 1:1돌 봄: 그룹형(주간) 1,500명 / 개별(주간) 500명 / 24시간 전국확대(340명)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 확대: 12.4만 명 중증 장애아 돌봄 지.. 2023. 12. 30.
2024년에 바뀌는 정부 지원제도 정리 1: 청년, 가족 2024년 청년, 가족에 대한 정부 지원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에는 올해보다는 좋은 소식들이 많기를 기대해 봅니다. 청년 취약청년 가족돌봄 청년 가족 돌보미 서비스 바우처 기간 확대: 12개월(월 70만원) 가족돌봄 청년 신체·정신건강 개선 자기 돌봄비: 분기당 50만원(연 최대 200만원 지원) 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방문상담, 공동생활 경험, 가족관계회복 등 지원: 청년 320명, 가족 640명 자립기반 자립수당(18세 이후 보호종료 청년): 50만원/월(5년간) NEET 청년 플랫폼: 10개소 특성화 대학·아카데미: 반도체·이차전지 2,450명 한미 첨단분야 청년교류: 300명 빈일자리 취업 장려금(조선, 물류 등): 최대 200만원(6개월간) 생활지원 대중 교통 요금할인 'K-PASS.. 2023. 12.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