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찬정보

K-Pass로 알뜰하게, 5월부터 대중교통 53% 할인 받으세요!

by 날마다달려 2024. 1. 19.
반응형

K패스

K-Pass는 올해 5월에 도입되며 대중교통 비용의 최대 53%를 환급받을 수 있는 혜택이 풍부한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K-Pass의 기능, 혜택, 그리고 도입 시점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K-Pass는 매월 최소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요금의 일정 비율(20% ~ 53%)이 누적되어 최대 60회까지 환급됩니다. K-Pass는 특정 지역이 아닌 전국에서 적용 가능하며, 서울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때도 동일한 할인과 포인트가 적용됩니다.

이용 방법

이용 방법은 현재 시행 중인 알뜰교통카드보다 간단합니다.

선불 충전식, 후불형 체크·신용카드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알뜰교통카드와 달리 출발·도착 기록도 필요 없습니다. 올해 5월부터 K-패스 공식 누리집이나 모바일 앱(응용프로그램) 또는 11개 카드사의 누리집을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K-패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용 가능 카드사는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티머니, 이동의 즐거움, DGB 유페이 등이고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K-패스 회원 전환 절차를 거쳐 기존에 발급받은 카드로 K-패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하철

 

K-Pass 혜택

사용자 그룹별 환급

K-Pass의 환급률은 사용자 그룹에 따라 다양합니다. 일반 20%, 청소년(19-34세) 30%, 저소득층 53.3%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매월 평균 7만 원의 교통비를 지출하는 경우, 일반인은 1만 4천 원, 청소년은 2만 1천 원, 저소득층은 3만 7천 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할인(최대 10%)까지 고려하면 교통비 절약 효과는 더욱 커집니다.

다양한 교통수단 대상 할인

K-Pass 할인은 일반 시내버스·지하철·광역버스·민자철도(신분당선 등) 외에도 GTX-A, 광역버스 등 요금이 비싼 교통수단에도 K-패스 할인이 적용됩니다. GTX-A의 일일 요금이 8,000~9,000원 정도로 추정되어 장거리 통근으로 인한 사용자 부담이 크게 경감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간편한 사용

K-Pass는 현재의 알뜰교통카드보다 간편하게 사용가능합니다. 선결제 충전형과 후불 체크 및 신용카드 모두 사용 가능하며, 출발 및 도착 기록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11개의 카드가의 누리집을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고를 수 있습니다. 이용 가능 카드사는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티머니, 이동의 즐거움, DGB 유페이 등입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K-패스 회원 전환 절차를 거쳐 기존에 발급받은 카드로 K-패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국 공통 사용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K-패스 이용이 가능할 전망으로 시행일 전까지 참여 지역을 현재 176개 지방자치단체에서 189개 지자체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인구수가 10만 명 이하인 일부 지자체를 제외한다면 사실상 전국 모든 지자체가 사업에 참여하는 셈입니다. 또 각 지자체와 협력해 K-패스에 지역민 혜택을 추가한 '지역맞춤형 K-패스' 사업도 검토할 계획이며, K-패스를 사용한다면 대중교통 요금의 인상으로 인한 교통비 부담을 전국 어디에서든 획기적으로 덜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5월부터 시작하는 K-Pass 대중교통 요금 환급 서비스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대중교통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 shareLink